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시작합니다. 이번 주말 기시다 일본 총리가 한국에 올 것 같은데요. 정치부 유승진 기자와 전후 사정을 살펴보겠습니다. <br> <br>Q. 유 기자, 미국에서 오자마자 곧바로 한일 정상회담이 이어지는 숨 가쁜 일정이 될 것 같네요? <br> <br>네, 어제 윤석열 대통령이 5박 7일 방미 일정을 마치고 돌아왔는데요, <br><br>일주일 뒤인 7일, 기시다 총리가 한국을 방문해 한일 정상회담을 여는 일정이 막판 조율중입니다. <br> <br>여기서 끝이 아니고요, 약 열흘 뒤에는 일본 히로시마에서 주요 7개국, G7 정상회의가 열립니다. <br> <br>여기서 한미일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크거든요. <br> <br>5월 한 달 그야말로 '외교의 시간'인 셈이라, 대통령실은 외교력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Q. 기시다 총리의 답방이 예정보다 빨라진 감이 있거든요. 그러다 보니 시청자 분도 한미회담의 성과인지 물어보셨어요. 미국이 일본에게 요청한 거 아니냐는 거죠? <br> <br>일단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일본이 먼저 오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합니다. <br> <br>이렇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 <br> <br>일본의 의지에 미국과 우리 정부의 이해관계도 맞아떨어졌다. <br><br>우리 입장에서는 주도권을 쥐었다고 볼 수 있는데요, 지난달 선제적인 일본 방문으로 일본도 화답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을 만들었다는 겁니다.<br> <br>미국 입장에선 한미일 전통적인 협력 복원의 동력을 이어갈 수 있게 됐습니다. <br> <br>한일 정상 셔틀외교를 완벽하게 복원한 뒤 이달 말 한미일 정상이 만나 삼각 공조를 굳건하게 과시할 수 있게 되는 거죠. <br> <br>일본의 입장에선 초조함이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> <br>Q. 이 대목이 흥미롭네요. 일본은 왜 초조한 걸까요? <br> <br>가장 큰 요인으로는 한미 간 워싱턴 선언을 꼽을 수 있는데요. 미국이 한국과 양자 관계에선 전례가 없는 핵 협의그룹을 신설하기로 했죠. <br> <br>핵전력 운용에 있어 한국의 입장을 기존보다 더 반영해 주겠다고 나선 건데, 일본도 북핵 위협에서 자유롭지 않잖아요. <br> <br>일본이 한미와 함께 핵협의그룹에 참여하는 안이 거론됐다는 보도도 나왔지만 우리 측에서는 한미 간 양자 협의라며 선을 긋고 있습니다. <br> <br>Q. 그런데 정상회담이 일주일 만에 갑자기 성사되고 그러기도 하나요? 준비할 것도 많을 텐데요. <br> <br>셔틀 외교는 두 정상이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, 현안이 있으면 수시로 만나자는 취지거든요. <br> <br>그래서 과거 전례를 봐도 1박 2일은 물론 당일치기 일정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이명박 정부 시절인 지난 2009년 1월 아소 다로 당시 일본 총리가 1박 2일로 방한했고, 이후 약 6개월 뒤에 이명박 전 대통령은 당일치기로 도쿄로 날아가 한일 회담을 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Q. 그럼 1박 2일이 유력하다는데 와서 뭘 하나요? <br> <br>지난 3월 한일정상회담 때 두 정상의 기자회견은 있었지만 공동선언은 없었죠. <br> <br>이번에도 공동 선언이 나오기는 어려울 것이란 관측입니다. <br> <br>대신 두 정상은 친교의 시간을 통해 관계 복원을 알릴 걸로 보이는데요, <br> <br>앞서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도쿄의 경양식 집에서 한국 소주와 일본 맥주를 나눠마시며 친교의 시간을 가졌죠. <br><br>이때 기시다 총리가 "한국 방문 때 이런 소통의 자리가 이어지길 바란다"고 했던 만큼, 이번에는 윤 대통령이 비슷한 형식의 만찬 자리를 만들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과거 이명박 전 대통령은 한국을 찾은 노다 총리를 한식당으로 데려가 양념갈비와 소주를 대접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Q. 기시다 총리가 오면 과거사 부분에 대한 언급이 있을까요? <br> <br>강제징용 피해자와 유가족 15명 가운데 10명이 배상금을 받았지만, 5명은 아직 정부의 해법안에 동의하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기시다 총리가 직접적인 사과를 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게 한일 소식통 분위기인데요. <br><br>조태용 국가안보실장은 "이번 방한 때 직접적인 사죄가 있어야 하냐"는 질문에 "한국의 이익에 도움이 되는 일들을 일본이 해야한다"며 에둘러 필요성을 말했습니다.<br> <br>Q. 윤석열 대통령, 순방 징크스라는 말도 있었는데 오늘 나온 여론조사보니까 조금 올랐더군요. 미국 순방 이후에요. <br><br>네, 오늘 발표된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지난주보다 1.9%P 올랐습니다. <br> <br>상승 폭이 크지는 않지만 4주 만에 반등한 건데요, <br> <br>그동안 '순방 징크스'라고 불릴 만큼 순방 때 논란으로 지지율이 떨어진 경우가 많았습니다.<br><br>3월 일본 다녀온 이후 지지율은 4%p 하락했고, 지난해 9월 영국·미국·캐나다 순방 때는 '바이든 날리면' 논란 등으로 지지율이 2주 만에 9%p나 떨어졌습니다.<br> <br>이번에는 그건 막은 거죠. <br> <br>윤 대통령은 내일 국무회의를 통해 국민들에게 직접 방미 결과를 설명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Q. 그러고 보면 곧 취임 1주년이군요. 5월 10일 취임했는데 뭘 준비하는 게 있습니까? <br> <br>한일 정상회담이 오는 7~8일에 이뤄지면 그 직후인 10일에 취임 1주년을 맞게 됩니다. <br> <br>취임 1주년을 맞아 기자간담회를 여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방미 성과를 설명하기 위해 여야 신임 원내대표를 함께 초청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.<br /><br /><br />유승진 기자 promotion@ichannela.com